▶ 혼인, 출산증여공제에 대하여 소개합니다.혼인·출산 증여재산공제 다음 중 하나에 해당되는 경우 1억원까지 공제받을 수 있습니다. 1. ① 직계존속으로부터 혼인일 전후 2년 이내에 증여를 받는 경우이고, ② 증여일이 2024년 1월 1일 이후여야 합니다.2. ① 직계존속이 자녀의 출생일 또는 입양일부터 2년 이내 증여를 받아야 하며 ② 증여일이 2024년 1월 1일 이후여야 합니다. 증여 한도 혼인과 출산 증여공제는 각각 1억원 한도이며, 두 공제의 중복적용 시 한도는 1억원입니다. 예를들면,① 출산증여공제 1억원을 적용받은 사람은 이후 혼인시 혼인증여공제를 적용받을 수 없습니다.② 출산증여공제를 5천만원 적용받은 사람은 이후 혼인시 5천만원까지 혼인증여공제를 적용받을 수 있습니다. 조부모에게 증여..
▶ 양도소득세 혼인합가특례에 대하여 소개합니다. 양도소득세 혼인합가특례? 1세대 1주택에 해당되는 주택을 양도하는 경우 양도금액 12억원까지 양도소득세가 비과세됩니다. 이는 원칙적으로 1주택을 보유한 세대만 적용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남편과 아내가 각각 1주택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 혼인신고를 함으로써 1세대에 주택이 2채가 되어 비과세 특례를 받지 못하는 불리한 상황이 발생합니다. 세법에서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혼인으로 2주택이 된 경우 5년 이내 먼저 양도하는 주택에 대해서 동일하게 비과세를 적용해주고 있습니다. 이를 양도소득세 혼인합가특례라고 합니다. 혼인합가특례의 요건 혼인합가 비과세 특례를 받기 위해서는 ① 혼인 전에 취득한 주택이어야 하며, ② 혼인일로부터 5년 이내 양도하여야 하..
▶ 종합소득세 신고시 경로우대자 공제와 관련한 질문·답변을 모았습니다.경로우대자 공제 관련 경로우대자 추가공제 나이요건Q. 경로우대자 추가공제를 적용받기 위한 나이요건은 어떻게 되나요? A. 70세 이상이어야 합니다. 2023년 귀속 연말정산 시 경로우대자 추가공제를 적용받으려면 1953년 12월 31일 이전 출생한 경우라야 합니다. 연도 중 사망Q. 어머님이 올해 7월에 사망한 경우에도 경로우대자 추가공제를 받을 수 있나요? A. 네. 가능합니다.70세 이상의 나이요건과 연간소득금액 100만원 이하의 소득요건을 충족한다면 연도 중 사망한 경우에도 기본공제와 경로우대자 추가공제 모두 가능합니다. 소득세법 제53조 제4항 본인이 70세 이상인 경우Q. 근로자 본인이 70세 이상인 경우, 경로우대자 추..
▶ 민원증명 발급방법을 정리하였습니다. 세무회계 플러스원Tel. 02-2038-4460Fax. 02-2038-4624Addr. 04797) 서울특별시 성동구 성수이로 118, 성수아카데미타워 713호, 714호Website. 바로가기↗ 잠깐, 세무회계 플러스원에서 기장하고 계신가요? 필요한 민원증명을 세무사가 발급받아 전달드립니다. 요청하기↗ 발급 창구 발급창구이용방법홈택스↗홈택스(www.hometax.go.kr) → 국세증명, 사업자등록 세금관련 신청/신고손택스↗(G) ↗(A)손택스 어플리케이션 접속 → 국세증명, 사업자등록 세금관련 신청/신고무인민원발급↗발급서비스 → 국세증명정부24↗정부24(http://www.gov.kr) → 서비스 → 신청,조회,발급 민원우편↗ 가까운 우체국에서 신청어디서..
▶ 상장주식의 시세 조회방법을 소개합니다.자주는 아니지만 간혹 상장주식을 상속받거나 증여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는데요. 이때 주식 가액은 상속일, 증여일 당시 종가로 설정하는 것이 불가능하며, 상속일 및 증여일 전후 2개월 종가의 평균액으로 계산하여야 합니다.* 이는 상속 및 증여시 의도적으로 주식가액을 낮추거나 높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조항이라고 합니다. *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63조(유가증권 등의 평가) ① 유가증권 등의 평가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서 정하는 방법으로 한다.1. 주식등의 평가 가.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따른 증권시장으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증권시장에서 거래되는 주권상장법인의 주식등 중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주식등은 평가기준일 이전ㆍ이후 각 2개월 동안 공표된..
▶ 수용 보상금이 상속세 신고기한 후 증액된 경우 가산세 부과여부에 대하여 소개합니다.상속개시일 현재 채권 또는 채무의 존부, 상속재산으로 확정시킬 수 없는 부득이한 사유, 소송내용 등 제반사항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이에 해당되는지 여부를 개별적 사안에 따라 판단하는 것임 토지 수용은 보상가액에 대하여 사업주체와 협상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 소송을 진행하게 되는 경우가 있는데요.만약, 소송을 진행중이던 당사자가 아직 추가보상가액이 확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사망하면 해당 추가보상가액은 정확한 금액을 알 수 없어 상속세 신고시에 포함할 수 없을 것입니다. 위와 같은 경우 일단 기존 보상가액만 상속재산에 포함하여 신고한 뒤 추가보상가액이 소송을 통하여 확정되면 수정신고를 진행해야 하죠. 그럼, 위와 같은 경우..
▶ 일반주택과 농어촌주택을 보유하고 있는 자가 일반주택을 양도하는 경우 비과세 여부를 소개합니다.일반주택과 조특법§99의4의 농어촌주택을 보유한 1세대가 일반주택을 양도하는 경우 농어촌주택은 해당 1세대의 소유주택으로 보지 않음 2주택자의 주택이 하나는 일반주택, 하나는 농어촌주택인 경우 농어촌주택은 1세대의 소유주택으로 보지 않아 일반주택을 양도할 때 비과세를 받을 수 있습니다. 꽤 오래된 규정이지만 모르시는 분들이 많은 규정이라 다시 한 번 소개합니다. * 농어촌주택① 2003년 8월 1일부터 2025년 12월 31일까지의 기간(계속 연장중)중 취득한 주택일 것② 수도권, 도시지역, 조정대상지역, 부동산거래허가구역에 위치하지 않을 것③ 주택 및 토지의 취득가액이 3억원(한옥은 4억원)을 초과하지 않을..
▶ 전입신고는 되어있지 않으나 실제 함께 거주한 경우 동거주택상속공제 적용 여부를 소개합니다.피상속인의 배우자가 주민등록과 관계없이 실제 피상속인과 생계를 같이 한 경우에는 ‘1세대’에 해당하는 것임 상속세 중 동거주택상속공제는 매우 큰 공제입니다. ① 피상속인과 상속인이 상속개시일로부터 소급하여 10년 이상 계속하여 하나의 주택에서 동거하고② 피상속인과 상속인이 상속개시일부터 소급하여 10년 이상 계속하여 1세대를 구성하면서 1세대 1주택에 해당되는 경우③ 상속개시일 현재 무주택자이거나 피상속인과 공동으로 1세대 1주택을 보유한 자로서 피상속인과 동거한 상속인이 상속받는 주택은 최대 6억원까지 공제가 가능합니다. 그런데, 여기서 1세대를 판단할 때 실제 함께 거주는 했지만 전입신고만 다른 장소에 되어있..
▶ 취득당시에는 비거주자 였으나, 양도 당시에는 거주자인 경우 보유기간 기산일에 대하여 소개합니다.조합원입주권이 완공된 신축주택을 양도하는 경우 1세대1주택 비과세 적용을 위한 보유기간 기산일은 거주자로 전환된 시점임 1세대가 1주택을 가지고 있으면서, 해당 주택에 대한 보유 및 거주요건을 맞춘다면 12억원까지 양도소득세 비과세를 해주고 있죠. 그런데, 취득했을때 비거주자인 상태에서 국내 주택을 취득하고 취득한 주택이 입주권으로 변동되어 거주자가 된 뒤 주택이 준공되었다면, 1세대 1주택의 비과세 적용을 위한 보유기간 기산일은 언제가 될까요? 최근 등장한 해석사례에서는 보유기간 기산일은 거주자로 전환된 시점이라고 해석하였습니다.(기획재정부조세정책-1483(2024.08.01.)) 기획재정부조세정책-14..
▶ 주요 세무일정을 정리하였습니다.2025년 5월 세무일정 월일일 정비 고512세금계산서 발행 4월분512원천세 신고/납부4월분5124대보험 납부4월분515근로내용확인신고서 제출4월분622024년분 종합소득세 신고·납부2024년분62간이과세 포기 또는 적용신고4월분 62일용근로소득 지급명세서 제출4월분 62사업소득자, 기타소득(인적용역)자 간이지급명세서 제출4월분622024년분 근로·자녀장려금 신청기한2024년분■ 국세기본법 제5조(기한의 특례) 규정에 따라 신고·납부기한일이 공휴일·토요일 또는 근로자의 날에 해당하는 때에는 공휴일·토요일 또는 근로자의 날의 다음날을 기한으로 합니다. 주요 세무일정 월간 반복일정매월 10일원천세 신고 및 납부주민세 종업원분 신고 및 납부세금계산서 발행 마감4대보험료 ..
▶ 주요 세무일정을 정리하였습니다.2025년 4월 세무일정 월일일 정비 고410세금계산서 발행 3월분410원천세 신고/납부3월분4104대보험 납부3월분415근로내용확인신고서 제출3월분4252025년 1기 부가가치세 신고 및 납부2025년 1기분430간이과세 포기 또는 적용신고3월분 430일용근로소득 지급명세서 제출3월분 430사업소득자, 기타소득(인적용역)자 간이지급명세서 제출3월분430공익법인 결산서류공시 및 세무확인서 제출3월분■ 국세기본법 제5조(기한의 특례) 규정에 따라 신고·납부기한일이 공휴일·토요일 또는 근로자의 날에 해당하는 때에는 공휴일·토요일 또는 근로자의 날의 다음날을 기한으로 합니다. 주요 세무일정 월간 반복일정매월 10일원천세 신고 및 납부주민세 종업원분 신고 및 납부세금계산서 ..
▶ 주요 세무일정을 정리하였습니다.2025년 3월 세무일정 월일일 정비 고310세금계산서 발행 2월분310원천세 신고/납부2월분3104대보험 납부2월분3102024년 근로소득, 퇴직소득, 사업소득 지급명세서 제출2024년분315근로내용확인신고서 제출2월분3312024년 귀속 법인세 신고 및 납부2024년분331간이과세 포기 또는 적용신고2월분 331일용근로소득 지급명세서 제출2월분 331사업소득자, 기타소득(인적용역)자 간이지급명세서 제출2월분■ 국세기본법 제5조(기한의 특례) 규정에 따라 신고·납부기한일이 공휴일·토요일 또는 근로자의 날에 해당하는 때에는 공휴일·토요일 또는 근로자의 날의 다음날을 기한으로 합니다. 주요 세무일정 월간 반복일정매월 10일원천세 신고 및 납부주민세 종업원분 신고 및 납..
▶ 주요 세무일정을 정리하였습니다.2025년 2월 세무일정 월일일 정비 고210세금계산서 발행 1월분210원천세 신고/납부1월분2104대보험 납부1월분210개인 면세 사업자 사업장현황신고2024년분215근로내용확인신고서 제출1월분2282024년 이자·배당·기타소득 지급명세서 제출2024년분228간이과세 포기 또는 적용신고 1월분 228일용근로소득 지급명세서 제출 1월분 228사업소득자, 기타소득(인적용역)자 간이지급명세서 제출1월분■ 국세기본법 제5조(기한의 특례) 규정에 따라 신고·납부기한일이 공휴일·토요일 또는 근로자의 날에 해당하는 때에는 공휴일·토요일 또는 근로자의 날의 다음날을 기한으로 합니다. 주요 세무일정 월간 반복일정매월 10일원천세 신고 및 납부주민세 종업원분 신고 및 납부세금계산서 ..